Multimodal Sentiment Analysis: A Survey of Methods, Trends, and Challenges | ACM Computing Surveys
Multimodal Sentiment Analysis(survey).pdf
감정 분석(Sentiment analysis)은 자연어처리 분야에서 20년 가까이 연구되고 있는 주제이다. 전통적인 감정 분석 모델은 텍스트에 집중하여 설계되었지만,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오디오, 비디오 등 다양한 데이터로부터 감정을 표출하게됨에 따라 멀티 모달리티(Multi-modality)를 활용한 분석이 활발히 진행되고있다.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감정 분석 연구의 접근법, 실용적인 적용, 한계점 등 포괄적인 분석을 진행하여 감정 분석 분야의 굉장한 잠재력이 있다고 결론짓는다.
Introduction
Sentiment analysis: Capturing favorability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
논문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Opinion extraction and semantic classification of product reviews.
the opinion holder
entity
positive
History of the sentiment analysis
⇒ 비록 현재 “멀티모달리티를 활용한 감정 분석 연구” 가 초창기 단계임에도 불구하고, 연구자들은 해당 분야로부터 파생될 수 있는 다양한 연구 분야가 나올 것이라고 예측하고 그에 따른 여러 연구들도 진행되어지고 있는 추세이다.
Contributions
텍스트 기반 감정 분석(Text sentiment analysis)는 크게 “document-level”, “sentence-level”, “aspect-level” classification으로 분류할 수 있다.
문서 수준(Document-Level)의 감성 분류는 전체 문서를 주요 정보 단위로 삼아 하나의 주제나 객체에 중점을 둔다. 이는 더 나아가 긍정적 극성(Positive polarity) 또는 부정적 극성(Negative polarity)로 세분화된다.
<참고>
Q. Positive polarity? Negative polarity?
A. 직역하면 긍정적 극성
또는 부정적 극성
이라고 해석되는데 여기서 극성은 감정의 정도(?) 라고 생각하면 될 것같다. 즉, 단순하게 Positive polarity는 긍정적인 감정
을 표현하고 Negative polarity는 부정적인 감정
을 표현하는 용어라고 생각할 수 있다.
Pang et al. [5]
머신 러닝 기반의 감성 분류의 선구자
Naive Bayes, SVM (Support Vector Machine), Maximum entropy classifier
IMDB movie reviewers dataset
SVM classifier로 82.9% 성능 기록
Das et al. [22]
Opinion polarity classification 수행
SVM
Bengali news dataset
긍정 부정 분류 문제에서 precision : 70.04%, recall : 63.02% 성능 기록
다국어 감정 분석(Multilingual Sentiment Analysis)은 둘 이상의 언어에 대한 감정 분류를 수행하는 기술이다.
다양한 언어 데이터셋에 대한 리소스 부족 문제가 있음
⇒ 하지만, 번역 결과가 원본 텍스트의 중요한 단어나 의미를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
Mihalcea et al. [27]